충남연구원은 18일 서울남부출입국·외국인사무소에서 이민정책연구원을 비롯한 전국 광역자치단체 산하 31개 연구기관과 지역이민정책 공동연구 및 정책 개발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.
이번 협약은 지역이민정책의 현황과 문제 해결 방안 등을 공론화하고 실질적인 정책 대안을 마련하기 위한 연구네트워크를 본격 가동했다는데 의미가 있다.
이에 각 기관들은 △지역이민정책 공동연구 및 정책개발 △연구성과 공론화 및 확산 △중앙정부 및 지자체에 지역이민정책 전략과 과제 공동 제안 △지식·정보 공유를 위한 운영위원회 설치 등 상시 소통 채널 운영을 추진키로 합의했다.
먼저, 이민정책연구원은 지역이민정책연구네트워크를 이끌면서, 제4차 외국인정책기본계획(2023-2027)의 중점과제인 ‘이민행정 전문성 및 연구기반 확충’을 위해 기획된 ‘민-관-학 합동 연구기반 마련’을 위한 플랫폼 역할을 수행하게 될 예정이다.
전희경 충남연구원장은 “인구구조 변화에 대응하고 지역균형발전을 실현하기 위한 각 지자체 차원의 이민정책 수립·실행은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한 상황”이라며 “이번 협약 체결은 중앙정부·지자체의 일관성있는 이민정책 추진은 물론 충남지역을 비롯한 각 지역별 특수성을 반영해야 한다는 점에서, 협력적인 정책연구 수행의 시너지 제고에 획기적인 전환점이 될 것”이라고 기대했다.
한편, 이날 협약 체결 후에는 범무부와 지역이민정책연구네트워크가 공동으로 “2025 이민정책포럼”을 개최했다. 특히 이 자리에서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지역기반 이민정책으로 꼽히는 3가지 비자정책(계절근로자제도, 지역특화비자제도, 광역형비자제도)이 실제 각 지자체 차원에서 어떻게 적용·운영되고 있는지 구체적인 사례를 공유하고, 중앙과 지자체 이민정책의 효과적인 추진 전략과 상호 협력 방안을 중점 토론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