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이화여대 교정에서 두 졸업생이 졸업 가운과 모자를 쓴 채 계단을 오르고 있다. 경향신문 자료사진
27일 국가통계연구원의 ‘생애과정 이행에 대한 코호트별 비교 연구: 교육·취업’ 보고서를 보면, 1970년생들과 달리 1980년 이후에 태어난 여성의 대학 이상 졸업 비율이 남성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.
이 보고서는 1970∼1994년생 세대를 5년 단위 코호트(공통된 특성을 가진 사람들 집단)로 나눠 교육 수준, 고용 등의 지표를 분석했다.
연령별로 보면 1980∼1984년생 중 대학 졸업 이상 비율은 남성 69.4%, 여성 72.1%였다. 1985∼1989년생에서 남성은 72.2%, 여성은 77.3%였다. 1990∼1994년생은 남성 65.3%, 여성 78.5%였다. 여성과 남성의 대학 이상 졸업자 비율 격차는 1980~1984년생에서는 2.7%포인트였다가 1990~1994년생에서는 13.2%포인트까지 벌어진다. 늦게 태어날수록 여성 대학 졸업자 비율이 더 늘어나는 것이다.

고호트별 및 성별 대학 졸업 이상 학력자 비율. 통계청 ‘생애과정 이행에 대한 코호트별 비교 연구: 교육·취업’ 보고서
대학원 진학 비율도 1980년대생부터 여성이 남성을 추월한다. 1970년대생은 남성의 대학원 진학 비율이 더 높았지만 1980~1984년생과 1985~1989년생에서는 여성이 남성보다 각각 1.1%, 0.9%포인트 대학원 진학률이 높았다.
고학력 여성이 많이 늘어나도 30대 여성의 ‘경력 단절’ 현상이 나타나는 건 똑같았다.

고호트별 성별 고용률. 통계청 ‘생애과정 이행에 대한 코호트별 비교 연구: 교육·취업’ 보고서
여성의 고용률은 30대에 꺾였다. 1970~1974년생 여성 고용률은 20~24세일 때 61.1%로 정점을 찍고 점점 줄어 30~34세에서 49.0%로 낮아진 후에 35~39세에 다시 54.9%로 높아진다. 남성보다 대졸자 비율이 높아지기 시작한 1980년대생 여성도 20대 후반에 고용률 정점을 찍고 30대 초반에 감소한다. 1980~1984년생 여성 역시 20~24세에 57.3%였던 고용률이 25~29세에 65.7%로 오른 뒤 30~34세에는 57.6%로 낮아졌다. 여성의 결혼·출산 연령이 늦어지면서 출산·육아로 경력 단절을 겪는 시기도 뒤로 밀리기 때문으로 해석된다.
반면 남성의 경우 20대부터 30대 후반까지 고용률이 꾸준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. 35~39세의 남성 고용률은 1970~1974년생 90.1%, 1975~1979년생 92.1%, 1980~1984년생 91.1%로 모두 90%를 넘는다.